정신분석 이론에서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는 내적 갈등 및 외적 스트레스 요인과 관련된 불안을 유발하는 생각과 감정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무의식적인 심리 작용이다.
실존주의자 하이데거는 '인간의 본질은 불안'이라고 했다. 동물은 새끼를 낳으면 한, 두 시간 만에 일어나 걷고 또한 스스로 자립해서 살아가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만물의 영장이라고 불리어지는 인간은 이와 달리 유아기와 아동기의 의존 기간이 다른 영장류와 비교해서 가장 긴 동물이다. 즉, 이 기간에 누군가의 전적인 보살핌이 없다면 인간은 자력의 힘으로 살아갈 수 없는 존재이다. ‘끈 떨어진 연’이라고 했던가! 태아가 산모부터 탯줄이 잘라지는 순간부터 태아는 본능적으로 불안을 느끼게 된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삶의 순간들에서 마음의 평정을 깨뜨리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본능적으로 인간은 두려움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 벗어나기 원하며 자신이 원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방법을 습득한다. 이렇게 습득한 방법을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라고 한다.
인간은 자아의 노력에 의해 욕구와 금지 사이의 갈등(본능적 욕구인 원초적 자아와 초자아의 요구, 이 둘 사이에서 자아의 충돌)에서 비롯된 불안을 처리하며 마음을 회복시키려는 다양한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를 사용한다. 이때 자아는 상황에 따라 필요한 방어기제를 무의식, 의식적으로 사용한다. 결국 한 사람의 가지고 있는 성격적 특성을 들여다보면 어떤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를 주로 사용하고 있느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억압(repression)
1. 억압(repression)이 생기는 이유
가장 기본적인 방어기제이며 의식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생각이나 감정 혹은 자아를 위협하는 소망이나 충동을 무의식에 눌러 숨겨 버리는 기제이다. 특히 수치심, 죄의식, 자존심을 상하게 했던 경험들은 의식 안에서 고통스러운 불안을 유발하므로 억압의 대상이 된다.
이와 달리 억제(suppression)는 의식적으로든, 전의식으로든 고통스러운 것을 잊으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실연당한 청년이 그 상처가 너무 크고 괴로워서 연인과 함께 공유했던 추억을 잊으려 한다거나, 또는 화가 나는데 참으려는 행동등이 이에 속한다. 억제 외의 나머지 기제들은 무의식적이다.
2. 억압은 정신분석 이론의 초석
프로이트는 억압은 정신분석 이론의 초석이 된다고 했다. 왜냐면 억압으로 인해 무의식이 생기며 이 억압된 무의식이 드러나고 통과가 될 때 치료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자는 정신분석의 작업을 통해 억압을 극복하는 과정을 갖게 된다.
3. 억압의 결과
억압이 성공적일 때는, 위협적인 충동, 감정, 기억, 금지된 욕망이나 본능적인 욕구에서 원초적으로 표현되는 것이 방어되므로 사회생활이나 관계를 잘 해낼 수 있다. 이와 반면 억압이 많게 되면 억눌린 생각들이 무의식 속에서 갇혀 있고 억눌려 있기 때문에 편견이나 선입견이 많아지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글을 마치며 …..
방어기제는 자신을 위급한 상황이나 스트레스에서 자신을 지켜주는 어쩌면 자연스러운 정신적 반응이다. 그러나 미성숙한 방어기제를 계속 사용하다 보면 신경증이나 정신증의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신이 어떤 방어기제를 사용하는지 대해 아는 지식은 매우 중요하다.
나의 방어기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의 하나가 ‘억압’이다. 상담을 받으면서 내 안에 있는 원초적 자아를 많이 누르고 살았음을 알게 되었다. 자아는 원초적 자아와 초자아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한다. 나의 자아는 두 자아가 갈등이 있을 때 대부분 초자아의 편에 서서 손을 들어주었다. 그 결과 나의 원초적 자아는 반란을 일으켰고 공황장애라는 병으로 복수했다. 나는 그동안 무시했던 원초적 자아의 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있는 중이다. 그리고 정중히 원초적 자아에게 사과했다. 그러면서 나의 마음은 조금씩 회복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에서의 인지부조화 (0) | 2023.01.07 |
---|---|
내 삶의 깨진 유리창 (1) | 2023.01.05 |
갱년기 & 에릭슨의 발달이론 (4) | 2022.12.28 |
심리학 관점에서 보는 영화 ‘가스등’ 인물 분석하기 (2) | 2022.12.24 |
가스라이팅(Gaslighting) (2) | 2022.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