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내 삶의 깨진 유리창

반응형

 

깨진 유리창 이론(broken windows theory)은 미국의 범죄학자인 제임스 윌슨과 조지 켈링이 1982년 3월에 공동 발표한 깨진 유리창이라는 글에 처음으로 소개된 사회 무질서에 관한 이론이다.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해 두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되기 시작한다는 이론으로,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면 큰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자 필립 짐바르도는 인간 본성에 관한 <스탠퍼드 감옥 실험(Stanford prison experiment)> <깨진 유리창 이론>의 토대가 되는 심리 실험으로 유명하다. 그는 평생 쉼 없이 인간에 대해 탐구하는 시간을 보냈다.

 

실험

 

깨진 유리창의 이론의 토대가 되는 실험은 1969년 필립 짐바르도에 의해 실행되었다.

필립 짐바르도는 중고차 두 대를 구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팰로앨토(Palo Alto)와 뉴욕 브룽크스(Bronx) 골목에 각각 자동차를 세워 두었다. 브룽크스의 차는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거의 대부분의 부품을 도난당하게 되었지만 팰로앨토에 세워둔 차는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

다음 실험 단계는  팰로앨토에 자동차 앞유리창을 깨든 채 차를 방치해두었는데  그다음 날에 차의 배터리가 도난당하고, 타이어가 사라졌으며 차 내부에는 쓰레기가 쌓여있었다. 또한 유리창도 깨어져 있었고 차 외부는 페인트로 어지럽게 낙서가 되어 있었다. 거의 폐차 직전으로 심하게 훼손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두 실험을 통해 짐바도 교수가 내린 결론은 자동차의 유리창이 깨진 채로  방치되었다는 것은 그 누구도 관심을 가지고 차를 관리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주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것은 주위 다른 이들로 하여금 여러 유형의 크고 작은 범죄를 불러일으킬 수 있게 된다고 지적했다.


사례

1. 뉴욕 도시의 변화

깨진 유리창 이론을 성공적으로 사회에 반영한 예가 있다. 1980년대만 하더라도 뉴욕은 범죄율이 아주 높은 도시였다. 특히 여행객들에게 뉴욕에 가면 지하철을 절대 타지 말라고 할 정도로 뉴욕 지하철의 치안상태는 형편없었다. 뉴욕시 당국은 이 문제로 고심하다 깨진 유리창 이론을 역으로 실행에 옮겼다. 뉴욕 지하철 내의 낙서를 모두 지우는 것을 목표로 세우고 실천하여 실제로 지하철에서의 사건사고가 급감하였다. 또한 건물 외벽에도 도시 미학을 해치는 낙서와 그림들을 모두 제거하자 범죄율이 줄어들고 도시의 이미지가 바뀌었으며 뉴욕은 사람이 들이 오고 싶은 도시로 탈바꿈하였다.

 

2. 의사의 불친절

깨진 유리창의 법칙은 일상에서도 쉽게 접목해 볼 수 있다. 얼마 전에 읽은 기사이다. 진료 중에 의사가 환자를 무시하는 발언을 했다고 한다. 화가 난 환자는 자신의 SNS에 병원 이름과 그 의사의 무례함을 알렸다. 후에 그 의사는 곤욕을 치렀다고 했다. 사소한 부주의 한 말 한마디가 큰 파장과 병원 이미지의 타격을 입힌 것이다.

깨진 유리창 하나를 방치해 두었는데, 범죄가 확산된 것처럼 우리 삶에도 예외가 없다. 우리 인생의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면 큰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행복한 자장을 만드는 힘 청소력의 저자 마스다미치히로는 깨진 유리창 이론을 청소에 접목시켰다. 그에 의하면 청소는 삶의 질서를 만드는 행위이다. 내면이든 외부든 더러운 곳을 청소하지 않고 방치하면 인생이 무질서해지고 집중력과 창의력이 떨어져 생산성이 떨어지고 삶의 질도 떨어진다고 했다. 더 나아가 어려움이나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것이다.

 

나는 마스다미치히로의 말의 의지하여 새해에 청소를 시작했다. 오랫동안 방치해 두었던 깨진 유리창’(무질서, 방치한 곳)인 책상 위를 먼저 정리했다. 그리고 방안에 이사 준비하려고 구입한 너저분하게 너부러져 있는 박스와 트렁크들을 한쪽으로 모았다. 이사라는 핑계로 나는 집을 방치했다. 떠나기 전에 청소하면 되지! 하고 말이다. 그런데 잘못된 생각이라는 것을 청소한 후에 깨달았다. 청소한 책상에는 최소한 필요한 물건만 놓았다. 그리고 책상 위에서 사용한 물건은 모두 제자리로 갔다 놓았다. 사물을 제자리에 두는 것은 청소에 들이는 시간을 줄이는데 중요하다. 책상이 깨끗해지니 그 공간이 좋아졌다. 정리된 책상을 보면서 스트레스도 줄어들었다. 나의 일과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 책상인데 깨진 유리창 상태로 오래 버려두었음을 회개했다. 이번주는 책상에 앉아 있는 시간이 즐겁다. 주변이 깨끗이 정리되니 작업도 잘 된다.


나의 인생에서 깨진 유리창은 어느 부분일까 생각해 봤다. ‘미움이다! 미움은 마음의 평안이라는 질서를 깨뜨리는 주범이다. 내 마음이 무질서하다. 그 미움은 사소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런데 너무 오래 방치해 놔두었더니 내 마음이 번잡하다. 유리창이라면 교체하면 그만이다. 마음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힘들다. 기도, 복식호흡, 좋은 생각하기……늘 내 삶을 점검해야 된다. 깨진 곳이 어디인지~

 

하얀 담벽에는 낙서가 되어 있고 유리창은 깨져 있음
All rights reserved to Getty Images/Image Sourc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