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자기 주도적인 삶을 위해서는 자기 중심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2

반응형

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아정체성이 뚜렷해야 한다. 대다수의 한국 사람들은 주어진 역할 속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찾는 경향을 가졌다. 존재감은 맡은 역할에서 오는 것뿐만 아니라 관계 안에서도 생긴다. 자신이 주체가 되는 건강한 상호보완적인 관계는 주도적인 삶으로 살아갈 가능이 높다. 


2023.02.25 -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 자기 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아정체감이 있어야 한다-1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아정체감이 있어야 한다-1

8단계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을 주장한 정신 분석 학자 에릭슨은 개인의 변화와 성장은 청소년기 이후에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이루어진다고 했다. 8단계 발달 이론의 요점은 인간은 각자 전

hasim2002.tistory.com

 

자기중심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눈치문화

 

주도적인 삶을 산다는 것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한 것에 대해 자신이 책임지는 삶을 산다는 의미다. 즉, 자기중심적으로 살아감을 의미한다. 이기적인 삶 하고는 다르다. 자기 삶의 주체자가 가족도 지인도 연인도 아닌 오롯이 자신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한국은 자기중심적으로 살기가 쉽지 않은 문화를 가졌다. 다른 나라에 없는 '눈치 문화'를 가지고 있어 자기 인생이지만 주체적으로 살아내기가 어렵다. 내가 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주변 사람들 '눈치' 보느라 내 마음만 가지고 결정을 내리기가 어렵다. 이런 눈치 문화 속에서 살아야 하는 타인중심적 삶은 인생을 피곤하게 만들고 관계에 에너지를 과다하게 쏟아부아 다른 것을 할 여력이 없다.

 

관계 속에서 눈치를 많이 보고 있다는 것은 우리의 관계 무게 중심이 상대에게 있다는 것을 뜻한다. 갑을 관계라면 눈치 보는 게 마땅하다. 내 생존을 누가 책임져 준다면 당연히 '눈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갑을관계도 아닌데 상대방이 갑처럼 느끼고 내가 항상 눈치 봐야 한다면 그 관계는 계속 가지고 가지 말아야 한다. 

 

왜 눈치를 볼까?

 

'눈치 보는 이유'에 대해서 사람들에게 인터뷰한 내용을 들은 기억이 난다. 

 

-싸움을 피하고 싶어서!

-갈등으로 관계가 복잡해지는 게 두렵다.

-소외당하고 싶지 않다(왕따의 두려움)

-눈치 없다는 소리를 듣고 싶지 않다 등

 

그 속마음은 '두려움'이었다. 분위기 파악 못하고 눈치 없이 내 생각대로 행동하고 말했다가 무리에게 버림받을 것 같은 두려움이 강하게 마음 깊이 자리 잡고 있다. 


반복학습의 결과

 

어렸을 때 나는 어머니로부터 '눈치'에 대해 정기적으로 심화 교육을 받았다. "사람이 어디를 가든지 눈치가 있어야 하며, 하물며 빌어 먹어도 눈치가 있으면 더 잘 얻어먹는다"라고 하셨다. 어렸을 때 받은 반복 교육은 꽤 효과가 높았다. 반복 학습은 강박이 되어 성인이 되어서까지 이어져 사람들의 안면을 살피는 게 중요한 업무(?)였다. 사람 만나고 오면 피곤이 방바닥을 뚫고 지구 밑바닥까지 닿았다. 

 

그 결과 나의 삶은 주체적이지 못하고 타자중심적으로 흘러갔다. 내가 없는 나의 인생을 살았음을 제2의 사춘기인 갱년기 때 엄청 헤매다가 깨달았다. 허무함, 공허함이 제일 크게 몰려와 힘겨움에 모든 것을 놓고 싶었던 기억이 난다. 또한 주체적으로 살지 못한 삶의 고단함은 공황장애 증세로 이어졌다. 

 

자신의 삶을 스스로 힘껏 살아내려면 욕먹을 각오와 눈치 보는 것을 버려야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마음이 사팔눈처럼 이리저리 굴러 다녀 시퍼런 멍이 든다.


내가 을이 되어 항상 눈치를 봐야 한다면 그 관계는 그만 정리해야 한다. 원하지 않거나 만나고 싶지 않으면 눈치를 그만 보고 그 관계는 끝내야 한다. 하지만 상대가 불편은 하지만 그것을 감내하고서라도 계속 만나고 싶은 마음이 있으면 눈치가 아닌 배려를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일단 자기 자신을 먼저 돌보는 것이 중요한다. 그 후에 상대를 배려할 것인가 아닌가는 나의 선택이다. 내가 주체가 되지 못하는 관계는 삶도 주도적으로 살기 어려움을 기억하자!

 

 

새벽 동틀무렵 산을 오르는 사나이 그림
주체적인 삶을 산다는 것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