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상황과 환경을 만나도 그것에 대한 반응은 각자 다르다. 간이 뒤집힐 상황에 놓인 경우에도 침착하게 상황을 잘 대처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반면에 어쩔 줄 몰라 우왕좌왕하고 자신을 통제할 힘을 잃는 사람들도 있다. 어떻게 하면 멘탈이 강해서 의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까? 그 멘탈의 힘은 어디서 온 것일까?
멘탈이 강하다고 느끼는 경우
전문가들에 의하면 멘탈은 태어나면서부터 강한 사람이 없다고 한다. 주변인 중에 멘탈이 강해서 부러움을 사고 있는 사람이 있는가? 정신분석학자들은 멘탈이 강하다고 판단되는 요인은 몇 가지 경우가 있다고 한다.
1. 똑같은 강도의 자극이 있는데 다른 사람들보다 스트레스 강도가 낮거나 둔감해서 힘든 상황을 만나도 멘탈이 크게 흔들리지 않을 때 멘탈이 강하다고 느끼게 된다.
2. 혹은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의 측면을 누군가에게 보이는 것을 불편하게 여겨 회피하거나 외면할 경우에 그의 의연한 태도를 보고 멘탈이 강하다고 생각한다.
(*1.2번 모두 멘탈이 강해 평정심을 잘 유지하는 사람처럼 보이는 것은 방어기제를 잘 사용하거나 둔해서 자극을 잘 못 느끼는 경우이다.)
3. 진정한 강한 멘탈은 모진 풍파에 시달리면서 만난 시련과 고난을 통과하면서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2023.04.13 -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 타고날 때부터 멘탈이 강하게 태어난 사람은 없다- 회복탄력성
타고날 때부터 멘탈이 강하게 태어난 사람은 없다- 회복탄력성
언제부터인가 멘탈갑이라는 신생어가 나오고 멘탈이 강한 사람들을 부러워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생겼다. 정신과 의사에 의하면 태어나면서부터 멘탈이 강한 사람은 없다고 한다. 그럼 어떻게
hasim2002.tistory.com
심리학자 에미 워너(Emmy E. Werner) 교수의 '하와이 카우아이 섬의 프로젝트'를 통해 강한 멘탈은 회복 탄력성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회복 탄력성이 좋은 아이들의 특징
그녀는 극도로 불우한 환경 속에서도 아주 건강하게 잘 성장한 어린이들의 특징을 '하와이 카우아이 섬의 프로젝트'에서 발견했다.
1. 정신 질환을 앓거나 알코올 중독이 있거나 혹은 성격 장애를 가진 문제가 있는 부모를 아이는 스스로 정서적으로 분리를 했다. 그러면서 부모의 역할을 대신해 줄 롤 모델을 스스로 찾았다. 이러한 어린이들의 특징은 "적극적이고 상냥하고 친밀감이 높아 사람을 사귀는데 어렵지 않은 타고난 기질 때문이다.
2. 이 아이들은 뛰어난 의사소통과 사회적 기술을 가지고 있어 사람들과 관계 맺는데 유리했다.
3. 열악한 자신의 환경에 매몰되지 않고 창의적인 생각과 활동, 취미 등을 가지고 있다. 아이들은 이러한 활동에서 나타나는 능력이 그들 자신에게 자신감과 창의적 사고력, 통제력을 길러줬다.
4.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낙관적인 사람은 내적 통제력과 긍정적인 자기 개념을 가지고 있어 도움이 필요할 때는 적극적으로 요청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5. 종교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어 자신의 삶을 주어진 운명에 따라 살지 않고 스스로 삶을 개척했다.
회복 탄력성
사람마다 위기나 역경을 극복하는 능력이 있는데 이 능력을 회복탄력성이라고 부른다. 물론 사람마다 회복탄력성은 차이가 있다. 어린 시절 성장하면서 가정으로부터 충분한 사랑과 무조건적인 신뢰를 받고 자란 사람은 회복탄력성이 높다. 이런 얘기를 들으면 그렇지 못한 가정에서 성장한 사람들은 깊은 좌절을 맛본다.
하지만 희망적인 것은 회복탄력성은 어린 시절 경험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고 스스로의 노력과 훈련에 의해서도 얼마든지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사람들은 태어날 때 1/3 정도만 높은 회복 탄력성을 가지고 태어나고 나머지 2/3는 스스로의 노력과 훈련에 의해서 만들어지게 되기때문에 얼마든지 회복 탄력성을 높일 수 있다.
참으로 복 된 소식이 아닌가!!!!!
To be contintued........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멘탈 갑 시리즈 - '빨간 머리 앤" (0) | 2023.05.04 |
---|---|
가면 우울증으로 살아가는 현대인들 (0) | 2023.04.27 |
타고날 때부터 멘탈이 강하게 태어난 사람은 없다- 회복탄력성 (0) | 2023.04.13 |
학폭에 신고하고 싶어요 (0) | 2023.03.25 |
일상의 삶에 변화가 필요하다면 자신만의 일상의 리츄얼(Ritual)을 찾으면 어떨까?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