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학폭에 신고하고 싶어요 상담 교사 했을 때 가끔 떠오르는 에피소드가 있다. 당사자 입장에서는 분노가 치밀어 올라오는 사건인데 제삼자인 나는 미소 짓는 일화로 기억한다. 사춘기 청소년 상담 나는 여자 중학교에서 상담 교사로 일했었다. 전교생이 750명쯤 되었을까? 내가 근무했던 학교는 그 도시에서 꽤 학군이 좋은 곳에 위치했었다. 자녀들을 입학시키기 위해 이사까지 올 정도로 학부모들이 탐을 내었다. 나는 연 년생 아들 둘을 키운 엄마이다. 이 문장 하나로 나의 성향과 치열했던 육아 전쟁을 가늠할 수 있다. 그런 내가 여중에서 상담 교사로 일했다는 것은 매일 사리 한 가마씩 쏟아 낼 정도의 인내심과 성격 개조까지 필요했다. 질풍노도 사춘기 중학교 여자 아이들을 대하는 것은 정말 섬세한 보살핌과 따스한 사랑이 필요했다. 또한 허벅지.. 더보기
일상의 삶에 변화가 필요하다면 자신만의 일상의 리츄얼(Ritual)을 찾으면 어떨까? 리츄얼(ritual)이라는 용어는 보통 종교에서 사용하는 언어이다. 반복적 행위라는 뜻을 가진 리츄얼은 인간이 신 앞에 나아갈 때 행해지는 예식, 의식이다. 요즈음은 일상생활에서도 리츄얼이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며, 우리는 의식적으로 각자의 리츄얼을 삶 속에서 치르면서 살고 있다. 2023.03.08 - [소소한 일상에서의 깨달음] - 일상의 리추얼 일상의 리추얼 대부분 종교들은 사랑, 용서, 감사를 삶 가운데서 행하도록 가르치고 있다. 감사는 사랑과 용서의 영역보다는 비교적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기가 어렵지 않다. 일상의 리추얼 나는 아침마다 나만 hasim2002.tistory.com 일상의 리츄얼 일상에서 사용하는 리츄얼(Ritual)의 의미는 일상적인 삶에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의식적인 행.. 더보기
외로움을 느낄때는 춤을 추세요~~~ 만성 외로움에 빠지게 되면 "매일 담배 15개비를 피우는 것만큼 해롭고, 알코올 의존성과 비슷한 수준으로 건강을 위태롭게 한다"는 기사를 봤다. 외로움을 방치하면 우울증, 불안증을 가져와서 신경계 염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정신 건강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도 심각한 병을 가져오게 된단다. 외로움은 고립 속에서 생기는 감정 외로움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자연스러운 감정중의 하나이다.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관계 속에서 자신이 어떤 가치를 가졌는지 확인이 어렵거나 정체성이 희박해질 때 외로움이 크게 온다. 이렇게 관계 속에 있지 못하고 사회 안에서 어떤 문제로 어려움에 부딪혀 오랫동안 고립되면 있다면 심각한 질병들을 불러오게 된다. 코로나로 격리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어났다고 한다. 또한 .. 더보기
반대말로 나누어진 세상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존재하는 것들을 상반된 두 단어로 나누어서 표현하고 평가한다. 반대말이다! 반대말은 서로 정반대 되는 뜻을 가지고 있는 한 쌍의 단어를 가리킨다.(출처 다음국어사전) 초등학교 다닐 때 국어 숙제 중에 하나가 단어의 반대말을 찾아오는 것이었다. 좋다 vs 싫다, 선진국 vs후진국, 예쁘다 vs 못생겼다, 성숙하다 vs미 성숙하다, 작다 vs 크다 어느 날 갑자기 반대어가 '인간의 사고체계를 반으로 가르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인문학에서는 이것을 '이분법적인 사고라고 부른다. 미 심리학회에서는 이분법적 사고를 All or nothing (전부 아니면 아무것도 아니다)으로 표현한다. 다른 말로는 양극화된 사고라고 부른다. 이렇게 반대말은 단순한 반대가 되는 뜻을 넘어서서 편을 가.. 더보기
한 번도 상처 받지 않은 사람처럼 사랑할 수 있을까? 오늘날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1위는 '인간관계'라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관계주의'인 한국은 특히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높다. 사람 때문에 힘든 것이 가장 큰 스트레스이고 상처이다. 관계주의? '우리'를 자아로 동일시하며 타인과의 관계 형성을 통해 '자아'를 형성한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사회를 떠나서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다. 이렇게 인간은 사회의 한 일원으로서 서로 도우면서 살아가야 할 존재인데 아이러니하게 서로의 마음에 큰 흉터를 남긴다. 거리 조절 모든 인간관계 문제는 '거리 조절'의 실패에서 온다. 사물뿐만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거리가 필요하다. 인문학적 용어로 '경계선'이라 한다. 서로 사이가 너무 가까우면 그 열기에 데어 화상을 입고, 또한 거리가 멀면 추워서 얼어 .. 더보기
바꿀 수 있는 것과 바꿀 수 없는 것을 아는 지혜 수학에는 상수와 변수가 있다. 인생도 마찬가지이다. 인생의 상수는 20 대 이후가 되면 바뀌지 않는 것 두 가지가 있다. IQ와 성격이라고 한다. IQ가 상수라는 것에 대해서는 별 이의가 없는데 성격은 '바뀐다'와 '바뀌지 않는다'로 의견이 둘로 나뉜다. 성격 형성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인간의 성격 형성은 부모의 유전인자로 부터 온 것이 50%, 학령기 전까지 부모의 양육태도에 의해 만들어진 것 25%, 나머지 25%는 사회생활(유치원부터 시작해~)하면서 형성된 성격이 25%이다. 그러고 보면 부모에 의해 형성된 성격이 유전인자를 포함해 75%이다. 부모가 한 사람의 일생에 미치는 영향력은 막강하다. 성격을 바꿀 수 있다고 보는 부분은 25%, 사회 안에서 만들어진 성격을 보는 것이다. 반면에 바꿀 수 .. 더보기
자기 주도적인 삶을 위해서는 자기 중심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2 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아정체성이 뚜렷해야 한다. 대다수의 한국 사람들은 주어진 역할 속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찾는 경향을 가졌다. 존재감은 맡은 역할에서 오는 것뿐만 아니라 관계 안에서도 생긴다. 자신이 주체가 되는 건강한 상호보완적인 관계는 주도적인 삶으로 살아갈 가능이 높다. 2023.02.25 - [일상에서 만나는 심리학] - 자기 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아정체감이 있어야 한다-1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아정체감이 있어야 한다-1 8단계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을 주장한 정신 분석 학자 에릭슨은 개인의 변화와 성장은 청소년기 이후에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이루어진다고 했다. 8단계 발달 이론의 요점은 인간은 각자 전 hasim2002.tistory.com 자기중심적인 삶을 살.. 더보기
자기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아정체감이 있어야 한다-1 8단계 심리 사회적 발달 이론을 주장한 정신 분석 학자 에릭슨은 개인의 변화와 성장은 청소년기 이후에도 멈추지 않고 계속해서 이루어진다고 했다. 8단계 발달 이론의 요점은 인간은 각자 전 생애에 걸쳐 나이별로 해내어야 할 과제가 있다고 말한다. 각 발달 단계의 과업을 이루지 못하면 노년기에 '자아통합'의 과제에 실패해 절망감속에 빠져 살아가게 된다. 자기 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 생각해 본다. 자신의 정체성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정체성 의미 정체성이란 간단히 말하면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해 아는 것을 뜻한다. 에릭슨에 의하면 발달 5단계인 청소년기에 이루어야 할 과업은 '자아정체감'이다. 이때 자신의 존재를 규명하지 못하면 역할 혼란이 일어나게 되어 평생 인생을 헤매게 된다.. 더보기
행복해지기 원한다면 서툴더라도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야 한다. 덴마크의 심리학자 일자 샌드는 자신의 저서 '서툰 감정'에서 사람들이 '겉으로 드러난 감정'과 '내면의 감정'이 불일치한다는 것에 관심을 가졌다. 그녀는 "이 두 감정이 동떨어질수록 불행하다고 느낀다"고 했다. 불행한 사람은 불편하고 용납하기 어려운 감정들을 억압해서 무의식으로 내려 보낸다. 반면, 행복한 사람은 두 감정의 괴리가 최소한 나타난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완벽해야 된다는 강박관념을 내려놓자! 세상은 우리를 향해 '완벽해라'라고 몰아붙인다. 또한 사람을 평가할 때 상대가 가진 재산, 학력, 명성 등의 기준을 가지고 등급을 매긴다. 일자 샌드는 "우리가 사는 이유는 완벽해지기 위함이 아니라 삶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고 살아갈 뿐이다"라고 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물질이 신이 된 'Ma.. 더보기
우리 자신은 알게 모르게 인에이블러(enabler)일 수 있다. 누군가를 돕거나 상대를 위해 대신 일할 때 희열을 느끼는 적이 있는가? 아니면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연인이나 지인, 자녀와 배우자가 해야 할 일들을 자신이 도맡아 한 경험이 있는가? 이런 일들을 한 두 번이 아닌 습관이 되어 삶의 뿌리를 내렸다고 한다면 당신이 어쩌면 인에이블러(enabler) 일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해 봐야 한다. 낯선 용어인 '인에이블러'라는 단어에 호기심이 생긴다. 나는 이타적인 성향을 가졌다. 나는 문제 해결 욕구가 높은 사람이어서 누군가가 어려움에 있으면 그 문제를 해결하고 돕는데 최선을 다하는 경향을 보인다. 나는 거기서 산 같은 기쁨을 누린다. 더불어 나같이 좋은 사람이 있을까? 하고 자뻑에 빠지기도 한다. 자아도취와 자신감은 얇은 종이 한 장 차이이다. 순간적으로 보기에는 '.. 더보기

반응형